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2025년 최저시급 그것이 궁금하다. 최저시급의 모든 것!

by event_horizon 2025. 2. 27.
반응형

최저시급 그게 뭐야?  
최저시급은 근로자가 최소한으로 받아야 하는 임금을 의미합니다. 이는 근로자의 생계를 보장하고, 노동 시장에서의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정됩니다. 최저시급은 정부에 의해 정해지며, 매년 조정될 수 있습니다.

돈다발 나도 한번 뿌려보고 싶네, 너도?


최저시급의 정의
근로자가 법적으로 보장받는 최소한의 임금으로, 근로자의 생계와 노동의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설정됩니다. 이는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며, 고용주가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2000년부터 2025년까지의 최저시급
- 2000년: 2,500원
- 2001년: 2,600원
- 2002년: 2,800원
- 2003년: 3,000원
- 2004년: 3,200원
- 2005년: 3,300원
- 2006년: 3,500원
- 2007년: 3,600원
- 2008년: 3,800원
- 2009년: 4,000원
- 2010년: 4,110원
- 2011년: 4,320원
- 2012년: 4,580원
- 2013년: 4,860원
- 2014년: 5,210원
- 2015년: 5,580원
- 2016년: 6,030원
- 2017년: 6,470원
- 2018년: 7,530원
- 2019년: 8,350원
- 2020년: 8,590원
- 2021년: 8,720원
- 2022년: 9,160원
- 2023년: 9,620원
- 2024년: 9,860원
- 2025년: 10,030원

최저시급 상승 추이와 빅맥지수 비교
- 최저시급 상승 추이: 2000년부터 2025년까지 최저시급은 약 4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최저시급은 2000년 2,500원에서 2025년 10,030원으로 증가했습니다.

빅맥지수

세계경제의 한 지표로 볼 수 있는 빅맥지수


  - 빅맥지수는 각국의 통화가치와 물가 수준을 비교하는 지표로, 특정 국가에서의 빅맥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 한국의 빅맥 가격은 2023년 기준 약 5,900원이었으며, 이는 최저시급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입니다

그래서 한달에 얼마?
2025년 최저시급은 시간당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월 생활비는 주휴수당을 포함하여 약 2,096,270원이 됩니다. 그러나 세금과 4대 보험료 공제를 고려하면 실수령액은 약 1,890,000원으로 추정됩니다.

최저시급 및 월급 계산
- 최저시급: 10,030원
- 최저월급 (세전): 2,096,270원 (주 40시간 근무 기준)

실수령액 계산
- 4대 보험료 공제:
  - 국민연금: 월급의 4.5%
  - 건강보험: 월급의 약 3.545%
  - 고용보험: 월급의 0.9%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공제:
  - 소득세: 약 5~6%
  -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 비과세 항목: 식대 등 비과세 금액으로 월 최대 20만 원 내외 적용 가능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
- 청년 및 대학생 근로자: 생활비와 학비 부담 경감
- 중소기업 근로자: 소득 안정성 보장

2025년 최저시급은 1만 원을 넘어서며, 이는 근로자들의 생활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저임금 인상은 단순히 월급을 올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근로자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생활비 예시

통장인가 텅장인가


- 주거비: 50만원 (원룸 기준)
- 식비: 30만원
- 교통비: 10만원
- 기타: 20만원
- 총 생활비: 110만원

현재 최저시급으로 한 달 생활비를 충당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여유가 없는 생활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가적인 수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최저시급은 근로자의 생계를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이며,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왔습니다. 그러나 생활비를 고려할 때, 최저시급만으로는 여유로운 생활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2025년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의 경제전망

 

2025년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의 경제전망

2025년 2월 25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기존 3.00%에서 2.75%로 25bp 인하했습니다. 이는 2024년 12월 이후 두 번째 연속 금리 인하로, 예상보다 둔화된 경제 성장을 부양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와 함

event-horizon-2021.tistory.com

 

반응형